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제세공과금 뜻 경품 수령 시 주의점 및 계산법 쉽게 정리

글: 부월천 2024. 12. 2.
반응형

제세공과금 뜻 그리고 경품 수령 시 주의점과 기준 및 계산법 이번 글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아마도 이런 용어 자체를 처음 듣는 분도 아니면 들어봤더라도 헷갈려하는 분도 있을 텐데 최대한 쉽게 적어보겠습니다.


목차입니다.

  1. 제세공과금 뜻
  2. 경품 제세공과금 기준은?
  3. 제세공과금의 계산법
  4. 간단한 요약

 


 

제세공과금 뜻

위에서 예고드린 것과 같이 정의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쉽게 말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수입 및 재산, 각종 거래 등에 부과하는 세금 그리고 공과금을 이야기합니다.

여기에서 세금은 다들 아시는 양도세, 부가세처럼 국가의 재정을 돌리기 위한 의무적인 금액이라 보시면 되고
공과금은 우리 흔히 아는 전기ㆍ수도세 등과 같이 공공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용을 의미한다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용어가 지금 당장은 와닿지 않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글을 천천히 정독하시다 보면 복잡하지 않다는 걸 아시겠지만

다시 한번 쉽게 정리하면 단어 그대로 '세금과 공과금을 합친 말이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참, 주로 기타 소득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니 이 부분도 기억하시면 좋겠죠?


경품 제세금 기준

사실 딱 22%만 기억해도 되긴 합니다.

그래도 그렇게 말씀드리면 뭔가 아쉬우니 일상 사례를 통해 약간 더 이해를 도와드리면요.

 

제일 흔한 케이스가 바로 각종 상금 및 당첨금 그리고 경품 등으로 수익을 얻을 때를 생각하면 딱 맞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하는 부분은 수령을 하게 되는 개인이 납부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는 것이고

 

특히, 근로소득세 및 4대 보험과 같은 것들은 회사에서 대신해서 납부해 준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좋겠고

(즉, 모든 것을 개인이 부담한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단 것이죠.)

 

또한, 케이스별로 다를 수는 있지만 대다수가 22퍼센트의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제세공과금 계산 방법

정외과 기준 등에 대해서는 이제 어렴풋이 이해를 하셨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쯤에 쉬운 문제를 하나 내보면요.

홍길동이란 사람이 정말 운이 좋게 이벤트 상금 1,000만 원에 당첨이 됐다면 실제 수령액은 얼마라 생각하시나요?

 

이런 문제는 참 쉽죠?

홍길동 씨의 당첨액은 1,000만 원이기 때문에 22%, 즉 220만 원을 제외한 뒤 잔액인 70만 원을 수령하게 될 텐데요.
업체(회사) 측에 부담을 하는 게 아니라면 그냥 수령금액 X 0.22 이렇게만 하시면 된답니다.

 

물론, 중간에 말씀드린 것처럼 다 똑같이 적용되는 건 아닙니다. 

어떠한 종류인지 금액인지에 따라서 세율 변동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 정도는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참, 금액이 너무 클 때는 나중에 세금이 환급되는 케이스도 있으니 추가 확인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간단 요약

지금까지 뜻과 경품 수령 시 주의점 및 계산법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제세공과금 의미를 다시 한번 정리하면 제세금 + 공과금을 합친 용어로 결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내는 비용이다.

2. 수령액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통상 22%를 적용한다.

그렇기에 당첨이 된다면 이를 고려해야 하고 누가 부담인지도 체크하면 좋다.

3. 만약에 1~12월 간 기타 소득이 300만 원을 넘으면 종합과세 대상으로 넘어간다는 것도 꼭 기억하셔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