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중소기업 적금 알아보고 계세요?
통상 재직자 우대 저축이라고들 하는데 가입부터 전체적인 내용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 중소기업 적금
- 가입 대상 및 금액
- 예상 금리 및 만기액
- 가입방법 취급은행
①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란?
이름부터 뭔가 좋아 보이죠? 중소기업에서 재직 중인 분이 매월 50만 원(최대)을 입금 시 납입액의 20퍼센트를 추가로 지원해 주는 상품으로 만기가 되면 납입한 + 지원된 금액을 한 번에 다 받을 수가 있답니다.
내가 낸 돈 외에도 받을 수 있단 것만으로도 좋은데 정부 세금 혜택이나 은행 금리 지원 등으로 실질적인 이득은 훨씬 더 크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놓치면 무조건 손해라 생각하는 제도랍니다.
여기서 잠깐 부언드리면 어느 한쪽만 좋은 것이 아닙니다.
재직자 분들은 지원 지원 금액에서 50% 소득세 감면, 은행 수수료 면제 + 대출 금리 인하 등 혜택이 있지만
기업 또한 세액 공제 및 비용 처리 등의 나름의 여러 이점이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라요.
② 가입 대상과 금액, 기간 알아보기
누가 가입을 할 수 있는지는 이름에서부터 티가 나죠? 대기업(중견 등)에 다니시는 분들을 제외가 되는데요.
중소에 다니기만 한다면 나이 / 소득에 대한 요건 없이 해당되기 때문에 큰 메리트로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가입 금액은 최소 10만 원 - 최대 50만 원이고 여기서 대박인 것은 기업 지원금이 20%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20만 원을 넣었다면 4만 원을 납입해 준다는 의미로 보시면 된답니다. 제대로죠?
특히, 여기에 일반적인 것보다 금리를 1~2% 더 우대받기 때문에 놓쳐선 안 될 통장인데요.
가입 기간은 기본 3년에서부터 시작을 합니다. 꽤 오랜 기간을 넣어야 하기에 저는 덜 부담되는 금액을 설정하는 게 좋을 듯한데요.
수입이 적거나 여러 가지로 돈이 나갈 일이 많다면 10만 원 등 최저액부터 올라가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랍니다.
③ 예상 금리 및 만기 시 수령액
월 30만 원을 넣는다 가정하면 대략 지원금이 6만 원, 이자는 4% 이상이 적용되면서 세전 2,300만 원 정도일 일 텐데요.
목돈을 모으기를 계획하는 분들은 최대치인 50만 원 정도 넣으시면 몇 년 후 꽤 큰돈으로 돌아오리라 생각됩니다.
④ 가입 방법 및 취급 은행
현재까지 해당하는 곳은 하나은행 그리고 기업 이렇게 두 군데입니다.
둘 중에 뭐가 좋다 이런 건 딱히 없는데요. 그냥 평소 많이 이용하고 집이랑 가까운 곳에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입 방법도 별로 어려울 게 없는데요.
1. 하나은행 앱을 실행, 접속하신 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저축"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 해당 상품 가입 페이지로 들어가서 순서대로 하나씩 입력하며 진행
3. 재직 여부 확인 등 절차를 거친 후 통상 3일 이내에 가입이 최종 완료
말씀드린 것과 같이 하나은행 중소기업 적금 가장 큰 장점은 나이와 연봉이 무관하다는 것입니다.
한동안 핫했던 청년정책에 해당되지 않아 아쉬움이 있었던 분들에게는 딱일 것 같은데요.
별로 어렵지 않으니 다시 한번 정독 후 바로 신청하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ce KCB 차이점 신용점수 올리기 하락 막는 방법 (3) | 2024.12.12 |
---|---|
NH농협은행 청년도약계좌 퇴사 개설 등 조건 정리 (1) | 2024.12.11 |
편의점 ATM 현금 입금 한도 수수료 면제 방법 등 정리 (1) | 2024.12.09 |
신용등급 점수표 확인 방법 단계별 신용점수 올리는 법 요약 (2) | 2024.12.06 |
주휴수당 뜻 알바 계산법 미지급 기준 신고 방법 정리 (1)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