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연차발생기준 그리고 연차수당계산법 쉽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헷갈리는 직장인분들은 이 글 하나만 보셔도 깔끔하게 이해되실 겁니다.
목차
- 연차 기본 개념
- 연차수당 지급 조건
- 2024 연차발생기준
- 연차수당 계산법 및 예시
- 결론
연차의 기본 개념
근로자가 일정한 기간을 근무하게 되면 주어지는 유급휴가 이를 우리는 연차라고 부르는데요.
"유급"이라는 용어처럼 쉬어도 임금을 지급받을 수가 있고 반대로 연차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회사에선 이를 보상해야 한다는 겁니다.

다만, 다들 예상하셨듯이 무조건 다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조건에 부합해야 가능하단 것인데요.
이것 또한 쉬운 편이니 차근히 읽어보시면 되실 겁니다.
연차의 지급 조건

연차 사용 유무도 중요하지만 지급에 대한 조건 충족이 우선이라고 제가 말씀을 드렸는데요. 관련해서 몇가지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사업장의 규모입니다.
예를 들어, 5명 이상 근로자가 있다면 수당 지급 의무가 있는 것이나, 5명 미만은 법적으로 강제할 수가 없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죠.
두 번째는 연차 사용 촉진제도입니다.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휴가 사용을 권장하는 것이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 1차(연차가 만료되기 6개월 전 10일 이내에 통보) → 2차(만료되기 2개월 전 사용 시기를 지정)
- 이렇게 했음에도 개인이 휴가를 가지 않는다면 보상 의무는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2024 연차 발생 기준
연차가 어떻게 계산되고 생기는지 알고 있어야 손해볼 일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2024년 연차 발생 기준 정도는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첫 번째, 1년 이상 근로한 케이스
이와 같은 경우 근로일수 80%만 이상으로 출근 시 기본적으로 15일이라는 휴가가 부여됩니다.
두 번째, 1년 미만 근무했다면
1개월 개근한다고 봤을 때 1일 연차가 생기는 것인데요. 이를 매월 계산 후 연차를 부여합니다.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수당계산법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통상임금이 기준이 되는구나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통상임금'은 야근 + 상여금 등을 제외, 아주 기본적인 급여(고정된)로 계산이 들어간답니다.
공식도 어렵지 않습니다. / 연차수당 = 통상임금(시간당)x근로시간x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

크게 어렵지 않단 건 느끼시죠? 물론, 조건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100% 정확하기는 어렵지만 대략적인 값을 알 수 있으실 겁니다. 참, 그래도 뭔가 복잡하다 느끼면 전용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듯합니다.
그냥 끝내긴 아쉬우니 간단한 예시를 보여드릴까 하는데요.
통상입금(시간)이 15,000원 / 근로시간 7시간 / 미사용 연차는 3일이라면 정답은 무엇일까요? 그리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연차 결론

가장 핵심은 이겁니다. 본적으로 연차는 1년 이내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고
이게 잘 안 될 경우 사측의 사용 촉구가 두 차례 진행되며 이후에는 보상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외에 시간당 통상임금으로 계산하게 된다는 것 또한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고 여러분의 중요한 권리 꼭 챙기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인 푸르지오 센터파크 분양 및 모델하우스 오픈 (1) | 2024.11.23 |
---|---|
2025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절차 요약 (1) | 2024.11.22 |
주식 제세금 뜻 그리고 종류 깔끔하게 간단 정리 (5) | 2024.11.21 |
온라인취업특강 듣는 법과 실업급여 지급일 깔끔하게 정리 (5) | 2024.11.20 |
안양 평촌 아크로베스티뉴 청약 임박 개인적인 입지분석 (4)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