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출금 한도, 이자 등 요즘 저와 가까운 분들이 파킹통장이나 예적금에 대해 대해 찾아보시더라고요.
그래서 이미 알고 있는 정보들이지만 깔끔하게 정리를 해서 제가 요약 정리를 해드렸는데요. 여러분들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파킹통장이란?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란?
- 세이프박스 입출금 방법은?
- 세이프박스 이자는?
- 보관한도는?
- 장단점 요약
파킹통장이란?
많은 분들이 파킹통장이 무엇에 대해 아실 것 같지만 혹시나 모르는 분들도 있을 수 있어 짧게 요약했는데요.

핵심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① 자동차를 주차할 때와 같이 언제나 나의 현금을 편하게 입출금 할 수 있어야 한다.
② 그리고 일반적인 입출금계좌 비교했을 때 약간이라도 이율이 더 높아 경제적인 이득도 되는 통장
생각보다 간단하게 정리가 되시죠?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카뱅의 파킹통장 = 바로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이렇게 생각하시는 게 편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제일 좋은 점은 짧은 기간, 즉 하루만 입금을 해도 이자를 계산해 준다는 것이 특징이자 장점인데요.

물론, 요즘은 이율이 변동되어서 연 2%라는 얼마 안 되는 이자만 붙긴 하지만 그래도 상황에 따라 거치하는 기간은 단기/장기 무관하게 설정하고 끌고 갈 수 있고 입출금까지 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게 참 좋은 것 같습니다.
저는 뭔가 급전이 생겼는데 예적금을 하기에는 조금 애매하고 입출금 계좌에 넣긴 아쉬울 때 이런 통장에 넣어서 잠깐 보관한답니다.
세이프박스 입출금
아마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가장 마음에 들어 하실 것 같습니다.
즉, 통장에 돈만 넣어놓으면 말 그대로 24시간 편할 때 넣고 뺄 수 있다는 것인데요.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에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나올 텐데요.
여기에서 입금을 하고 싶을 때에는 + 넣기를 / 만약 출금하고 싶으신 경우엔 - 빼기를 클릭하시면 해결되는데요.
특히, 정해진 한도가 높다는 것도 장점인 것 같은데요. 최대 1억 원까지 내가 원하는 만큼 넣을 수도 있고 또 보관 중인 금액 중 일부만 뺄 수도 있답니다. 참, 이때 기존에 연결된 통장에서 돈이 움직이기 때문에 잔액은 확인하셔야겠죠?
세이프박스 이자
이 부분이 영리하게 만들었다 생각이 듭니다. 조금씩이지만 매일매일 쌓이는 이자를 눈으로 볼 수가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푼돈이라도 넣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큰 돈이 아니지만 짧게라도 넣으면 유지를 해왔는데요. 이렇게 받아온 이자가 10만 원이 넘었습니다
물론, 큰 금액까지는 아니지만 치킨이 4마리이니 핵 이득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보관 한도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보관 한도 첫 시작은 1000만 원까지 한도가 걸려 있는데요.
다만, 1억까지는 조정할 수 있기에 상향을 해놓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잠깐 목돈을 맡기실 분들의 경우는 필수! 조금이라도 혜택을 더 받는 게 좋겠죠?
장단점 요약
이제 짧게 장단점을 요약 후 글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장점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일단 말 그대로 편리합니다. 기본적으로 카뱅 자체를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 직관적인 구조기에 한눈에 보기 편한데요.
따로 매뉴얼을 보지 않아도 누구든 편하게 쓰실 수 있어 좋답니다.
두 번째는 보관하는 기간에 전혀 구애가 없다는 부분입니다. 이게 파킹통장의 매력이자 유용한 점인 것 같은데요.
사용시기를 예상할 수 없는 목돈을 그냥 놔두는 것보다는 조금이라도 높은 이자를 받을 수가 있기에 좋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아쉬운 점이 있긴 합니다.
바로 2%의 약간은 아쉬운 이자입니다. 요즘엔 파킹통장이 많아져서 시중에 여러 은행들을 봐도 이보다 높은 케이스가 많은데요.
그렇다 보니 이용하는 입장에서는 약간이라도 더 높으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답니다.
물론, 이런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씀드렸 듯이 조작도 편하고 편리한 기능과 직관적 구조로 편리하기에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여러분들도 잘 활용하셔서 경제적인 이득이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상실 소급 뜻 등 핵심 정리 (4) | 2024.11.27 |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퇴사시 환급 등 해결 방법 정리 (2) | 2024.11.26 |
질권설정 뜻 신청 해지 방법 필요서류 등 간단하게 요약 (4) | 2024.11.24 |
상인 푸르지오 센터파크 분양 및 모델하우스 오픈 (1) | 2024.11.23 |
2025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절차 요약 (1)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