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요즘분들 중에서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은데요. 특히나, 계산 방법이나 계산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통상임금의 정의부터 계산 방법, 그리고 관련된 유용한 정보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목차
- 통상임금이란
- 계산방법
- 계산기
- 평균임금과 차이
- 간단 요약
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시간에 대해 지급받게 되는 기본적인 임금을 의미해요.
즉, 일한 시간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급을 받는 금액을 말하는데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수당을 계산하는 데 기준이 됩니다. 이게 얼만지에 따라 내가 받는 게 많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니 핵심적인 요소겠죠?
그렇기에 보다 더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부분이라 느낍니다.
통상임금 계산법
방법 자체는 몇 가지가 있긴 한데 일상에서 사용하는 베이식한 방법은 월급을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월급이 2,123,780원이라고 했을 때 이걸 주당 근로시간으로 나눠서 계산할 수가 있겠죠? 통상적으로는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급을 계산할 수 있어요.
헷갈리는 분들 있으시죠? 다시 한번 계산 기본공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급 = 월급 / (주당 근로시간 × 4주)
이렇게 계산된 시급을 기본 베이스로 해서 연장근로 및 야간근로 수당을 추가로 계산할 수가 있답니다.
계산기 사용은?
위에서 설명드린 것을 보다 더 쉽게하는 방법 중 하나가 통상임금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요즘은 다양한 온라인 상으로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해 주기 때문에 편리하답니다.
예를 들어, 통상임금 계산기에서는 월 기본급이나 고정수당, 연간 상여금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까지 제공되는데요.
사용하실 때 주당 근로시간을 선택하는 게 기본이고 추가로 연장근로 시간이나 휴가 일수도 입력할 수 있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정보들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결과값을 출력하는 것이랍니다.
평균임금과 차이는?
여기서 아마 궁금한 게 생기실 겁니다. 바로 많이 들어봤던 평균임금은 무엇인지 그리고 두 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헷갈리시죠?
핵심만 말하자면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받은 "총 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 근로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근로자가 1년 동안 받은 임금의 총합, 즉 연봉을 365일로 나누면 평균임금이 나오고 이는 퇴직금, 연차수당 계산 간 활용됩니다.
반면, 통상임금 뜻은 정해진 시간에 대한 기본적인 임금이기 때문에, 두 개념은 서로 다르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후자의 경우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따라서 이게 제대로 계산이 안 됐을 경우엔 근로자는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 주의하셔야겠죠?
둘 중 어떤 것으로 했을 때 유리한지도 한 번 판단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간단 요약
이렇게 통상임금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이해가 깊어지지는 않았어도 이게 무엇이구나 대략은 이해가 가실 겁니다.
말씀드렸던 계산법은 대략적으로 기억만 하시고 실제로는 계산기를 활용하시는 게 훨씬 더 편리하실 겁니다.
돈과 관련된 문제이니만큼 대충 알아보고 넘기지 마시고 조금 더 디테일하게 체크하시는 게 좋을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수선충당금 반환 전세 월세 매매 계산 및 장충금 뜻 완벽 정리 (0) | 2024.12.20 |
---|---|
2025 공익 사회복무요원 월급 간단 정리 (1) | 2024.12.18 |
착오송금 반환 지원 제도 카카오 토스 계좌 이체 잘못 입력했을 때 해결법 (1) | 2024.12.17 |
2025 직업 군인 월급 병사 하사 장교 비교 봉급표 총정리 (2) | 2024.12.16 |
Nice KCB 차이점 신용점수 올리기 하락 막는 방법 (2)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