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통상임금 뜻 계산기 및 쉽게 보는 계산법 정리

글: 부월천 2024. 12. 19.
반응형

통상임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요즘분들 중에서 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은데요. 특히나, 계산 방법이나 계산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통상임금의 정의부터 계산 방법, 그리고 관련된 유용한 정보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목차

  1. 통상임금이란
  2. 계산방법
  3. 계산기
  4. 평균임금과 차이
  5. 간단 요약

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시간에 대해 지급받게 되는 기본적인 임금을 의미해요.

즉, 일한 시간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급을 받는 금액을 말하는데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수당을 계산하는 데 기준이 됩니다.  이게 얼만지에 따라 내가 받는 게 많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니 핵심적인 요소겠죠?

그렇기에 보다 더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부분이라 느낍니다.


통상임금 계산법

방법 자체는 몇 가지가 있긴 한데 일상에서 사용하는 베이식한 방법은 월급을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월급이 2,123,780원이라고 했을 때 이걸 주당 근로시간으로 나눠서 계산할 수가 있겠죠? 통상적으로는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급을 계산할 수 있어요.

헷갈리는 분들 있으시죠? 다시 한번 계산 기본공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급 = 월급 / (주당 근로시간 × 4주)
이렇게 계산된 시급을 기본 베이스로 해서 연장근로 및 야간근로 수당을 추가로 계산할 수가 있답니다.


계산기 사용은?

위에서 설명드린 것을 보다 더 쉽게하는 방법 중 하나가 통상임금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요즘은 다양한 온라인 상으로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해 주기 때문에 편리하답니다.

예를 들어, 통상임금 계산기에서는 월 기본급이나 고정수당, 연간 상여금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까지 제공되는데요.

사용하실 때 주당 근로시간을 선택하는 게 기본이고 추가로 연장근로 시간이나 휴가 일수도 입력할 수 있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정보들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결과값을 출력하는 것이랍니다.


평균임금과 차이는?

여기서 아마 궁금한 게 생기실 겁니다. 바로 많이 들어봤던 평균임금은 무엇인지 그리고 두 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헷갈리시죠?

 

핵심만 말하자면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받은 "총 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 근로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근로자가 1년 동안 받은 임금의 총합, 즉 연봉을 365일로 나누면 평균임금이 나오고 이는 퇴직금, 연차수당 계산 간 활용됩니다.

 

반면,  통상임금 뜻은 정해진 시간에 대한 기본적인 임금이기 때문에, 두 개념은 서로 다르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후자의 경우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따라서 이게 제대로 계산이 안 됐을 경우엔 근로자는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 주의하셔야겠죠?

 

둘 중 어떤 것으로 했을 때 유리한지도 한 번 판단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간단 요약

이렇게 통상임금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이해가 깊어지지는 않았어도 이게 무엇이구나 대략은 이해가 가실 겁니다.

말씀드렸던 계산법은 대략적으로 기억만 하시고 실제로는 계산기를 활용하시는 게 훨씬 더 편리하실 겁니다.

 

돈과 관련된 문제이니만큼 대충 알아보고 넘기지 마시고 조금 더 디테일하게 체크하시는 게 좋을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